나만 모르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나만 모르는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

검색 레이어

나만 모르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부동산 정책론 #2

    2021.12.21 by 이물콩

  • 부동산 정책론 # 1

    2021.12.21 by 이물콩

  • 경영학 기초 #6

    2021.12.20 by 이물콩

  • 경영학 기초#5

    2021.12.20 by 이물콩

  • 경영학 기초 #4

    2021.12.20 by 이물콩

  • 경영학 기초 #3

    2021.12.20 by 이물콩

  • 경영학 기초 #2

    2021.12.20 by 이물콩

  • 경영학 기초 #1

    2021.12.20 by 이물콩

부동산 정책론 #2

1. 부동산의 특성 흔히 부동산의 특성으로 많이 언급되는 것으로, 부동성(不動性), 부증성(不會), 불변성(不變性), 이질성(異質性), 용도의 다양성, 영속성, 분할거래의 어려움 등이 있다. 부동성(不動性) 부동산의 특성 중에서 가장 먼저 들 수 있는 특성이 부동성 (immobility)이다. 부동산은 다른 재화와 달리 이동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부동성은 위치의 고정성(fixed location), 이동 불가능성, 비유동성 등으로 불리어지기도 한다. 부동산의 부동성은 토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특성으로부터 나온다. 토지의 정착물, 예를 들어 건물은 토지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가 갖고 있는 부동성이라는 특징을 그대로 이어받게 된다. 부증성(不增性)과 부동산 중에서 토지는 공간적으로 생산이 불가능..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1. 17:31

부동산 정책론 # 1

1. 부동산의 개념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부동산은 물건(物件)인 유체물(有體物) 및 전기(電氣)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민법 제98조) 중에서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이고, 부동산 이외의 물건은 동산이다(99조). 토지는 필(筆)로 나누고 거기에 지번(地番)을 붙여 특정하며, 1필의 토지는 1개의 부동산이 된다. 토지의 소유권은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토지의 상하(上下)에 미친다(212조). 토지의 구성물인 암석·토사·지하수 등은 토지의 구성부분으로서 별개의 물건이 아니지만, 미채굴의 광물은 국유에 속하고 광업권의 객체가 된다. 바다와 하천은 사적 소유권의 대상이 되지 않으나 어업권(漁業權), 공유수면매립권(公有水面埋立權), 점용권(占用權) 등은 성립될 수 있다. 도로는 사적 소유권의..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1. 11:00

경영학 기초 #6

2) 경영학의 지도원리 경영학의 지도원리란 경영자가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준수해야하는 행동원리 내지 선택원리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경영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주도하고 구축하는 지침이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관한 주장은 다양하여 아직까지 통일된 견해를 찾아볼 수 없으며, 어떤 원리가 절대적이거나 불변적인 행동기준으로 적용될 수도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익성과 경제성 및 생산성의 원칙이야말로 모든 경영이론과 실천방안이 지향해야 할 기본적인 틀로서 인식되고 있다. 여기에서 경영활동의 합리성 원칙이 지향하는 바를 회계적으로 나타낸 것이 수익성이라면, 가치적으로 표현한 것이 경제성인 데 비해, 물량적으로 측정한 개념이 생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1) 수익성 원..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0. 10:54

경영학 기초#5

3. 경영학의 연구대상과 지도원리 모든 학문은 저마다 다른 학문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고유의 연구대상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사회과학 중 경제학은 사회현상 중 경제적 측면만을 대상으로 성립된 학문이며, 정치학은 정치적 측면을 대상으로 하고, 사회학이나 심리학은 사회적·심리적 측면에 관심을 집중시켜 성립된 학문이다. 일반적으로 영영학의 연구대상은 우리가 현실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존재론상의 경험대상(empirical objective)인 기업과 경영, 그리고 연구자가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 사고상으로 형성한 인식대상(cognitive objective)의 관점에서 본 행동원리인 수익성과 경제성 및 생산성으로 구분된다. 1) 경영학의 연구대상 경영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독일 경영학과 미국 경영학이라는 두 가지의 큰..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0. 10:52

경영학 기초 #4

먼저 경영학의 하나의 접근은 과징적 관점에서 흐름으로서의 경영활동으로 그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다. 경영활동을 과정적·동태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면 경영자가 기업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각 부문별로 목표 지향적 활동을 계획하고 조직하며 지휘하고 통제하는 활동이다. 계획활동(planning)이란 목표설정과 목표에 이르는 경로를 설계하는 것을 말하며, 조직활동(organizing)이란 설정된 목표와 경로에 따라 자원을 조달하고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지휘활동(leading)이란 기업의 구성원들이 맡은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그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이끄는 활동을 말하며, 통제활동(controlling)은 업무의 수행상황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경영학의 또 하나의 접근은 정..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0. 10:50

경영학 기초 #3

여러분은 경영학이라는 학문을 배움으로써 무엇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인가? 우리들은 오늘날 어떤 의미에서는 기업이나 경영이라는 단어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루도 빼놓지 않고 관심을 가지고 접하게 되는 경영이라는 단어의 울창한 숲속을 거닐고 있다. 그러면 도대체 일상적으로 우리들의 생활 주변에서 누구나가 쉽게 이야기하고 있는 경영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경영이라는 개념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고 할 수 있지만, 경영학은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비교적 최신의 학문이다. 경영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육은 20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서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경영학이란 크게 영리 및 비영리 조직체 모두를 연구하는 넓은 의미의 경영학인 일반..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0. 10:49

경영학 기초 #2

[경영학인란 어떤 학문인가?] 1. 경영학의 학문적 위치 경영학은 상식(common sense)이 아닌 학문(learning)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상식이란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단편적이고 복합적인 지식을 말한다. 이 때문에 상식은 서로 모순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상식을 기초로 한 지식은 그것이 보편타당성(universality)이 있는지에 관한 검증을 위해 필요한 논리적 사고과정이 없다. 이에 비해 학문은 단순히 흩어져 있는 단편적인 지식을 모은 것이 아니라, 어떤 넓은 대상영역 또는 문제에 대한 지식의 체계를 의미한다. 학문의 본질은 합리성과 실증성에 있고, 학문의 목적은 어떤 법칙이나 법칙의 세계를 찾는 것과 같이 궁극적으로 진리를 탐구하는 데 있다. 학문이 실생활에 유용..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0. 10:47

경영학 기초 #1

[우리는 왜 경영합을 배우는 것인가?] 인간은 직장생활, 단체생활, 사회생활, 국가 생활, 국제생활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활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든인간은 여러사회에 소속되어 공동생활을 하며 무엇인가 필요한 활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활동은 극히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막연하게 이루어지는것은 아니다. 인간은 무엇인가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거나 또는 목적을 정해서 그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동으로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은 목정을가진 의식적인 행동이기 때문에 활동이라고 하며, 목적이 없는 행동은 단순 동작에 불과하다. 인간이 사회적 공동 생활을 하는게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협동적 노력이 필요하며, 다수인의 집단적 활동에 있어서 협동적 행위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모든 활동이 고도의 합리성을 지닌..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0. 10:0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나만 모르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